르헤브 디자인유학 포트폴리오 준비시 주의사항^^

2014. 9. 26. 19:53PORTFOLIO

 

포트폴리오준비 시 COPY는 금지?

작품 퀄리티가 높다고 판단되는 학생들이 오히려 예술대학에 지원하여 어드미션을 못 받고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는 보통 작품을 통으로 COPY해서 그리는 경우이다. 절대금물!!! 포트폴리오준비 시 창의적인 작품을 준비하기 위해 사진 자료를 참고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허용이 될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참고하는데 도움이 된다. 포트폴리오를 응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만 사진그대로를 전부 COPY해서 그리는 경우는 불이익을 받게 된다. 인터넷의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하면서 쉽게 자료를 찾을 수 있으므로 포트폴리오준비시 쉽고 편하게 그리기 위해 양심을 파는 사례, 그래서도 안되지만 지원 시 심사위에서 문제를 삼고 어드미션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Drawing 드로잉 포트폴리오
드로잉은 채색으로의 색감을 나타내는 과정이 아니라 선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작품을 말한다. 어떤 분야에서는 드로잉은 기본이 되어야 하며 시각디자인 인테리어디자인 건축 패션컴퓨터아트 애니메이션등 다양한 학과에서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며 기초라고 보면 된다. 각 해외예술대학의 커리큘럼을 살펴보면 1학년수업에 드로잉 페인팅수업은 필수이며 반드시 이수를 해야 하는 공통실기과목이다.미술재료는 연필 색연필 콘테 목탄 잉크펜등 다양한 기본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포트폴리오에서도 관찰하여 주제와 컨셉을 바탕으로 준비하는 것이 해외예술대학의 심사에서 드로잉 기본베이스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 Painting 페인팅 포트폴리오
페인팅포트폴리오는 색채를 이용하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부분이다. 다만 페인팅은 얼마나 자신만의 컬러감각을 보여주느냐 이며 주제와 컨셉에 따라 재료사용과 표현기법 컬러감각을 보여주느냐에 따라 페인팅포트폴리오의 퀄리티가 천차만별 달라진다는 점이다. 페인팅작품을 들어가기 전 물감과 물 붓 사용감각을 기초재료 사용능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페인팅 재료는 다양한 크기의 붓 파렛트 물통 작은 세척용 면수건 그리고 유화물감 아크릴물감 과슈 그리고 건식재료인 색연필 파스텔 등 기본재료가 필요하다.

 

★ Collage 꼴라쥬 포트폴리오
종이나 천 등을 찢거나 오려서 붙이는 방법으로 주제와 컨셉을 이용하여 구상, 비구상의 작품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미술 표현기법 중 매우 중요시 여기는 미술장르이다현대에 이르러서는 드로잉 페인팅등 다양한 미술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고있다.

'꼴라쥬(Collage)'는 '풀칠', '바르기' 따위의 의미였으나, 전용되어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조각, 모래, 나뭇잎등 여러 가지를 붙여서 구성하는 회화 기법 또는 그러한 기법에 의해 제작되는 회화를 가리킨다. 이것은 입체파 화가들이 물감대신에 신문지, 우표, 벽지, 상표 등의 실물을 붙여 구성하던 '파피에 콜레'라는 기법에서 확대되었으며 이 후 1960년대 '팝 아트'를 거쳐 계속 사용되고 있다.

 

★ Mixed Media 믹스미디어 포트폴리오
믹스미디어 는 한 작품 안에 다양한 재료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분야이다. 현대미술에서는 이 기법을 많은 화가들이 사용하는데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으며 개성 있는 작품을 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믹스미디어 포트폴리오작품을 준비한다면 먼저 주제와 컨셉을 정하고 그 주제 컨셉에 맞추어 재료를 결정하며 반 입체로도 가능하므로 다채로운 상상력을 가지고 임하기 바란다. 작품 안의 레이아웃과 컬러 그리고 재료활용아이디어가 필수이다.

 

★ Objet 입체조형 포트폴리오
Objet 입체조형 포트폴리오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조형물, 물체, 물건이라는 말로 표현되며 원하는 구상 비구상의 이미지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3D로 형상화 하는 조형작품을 말한다. 주제는 자유주제형식이며 우리나라의 입시조형처럼 사람의 모습을 그대로 복제하듯 작업하는 과정과는 매우 다르다. 어떤 재료를 사용하든 무리가 없다. 어떤 형태가 나오던 문제가 될 수 없다. 어떤 주제와 컨셉도 무의미의 주제 컨셉만 아니라면 가능하다. 형태를 만드는 부분에 대한 두려움을 갖지 말라 오히려 드로잉보다 더 재미있고 쉬울 수도 있으며 뭔가 이루었다는 자부심을 갖게 하는 작품 중 하나가 입체조형포트폴리오이다.

 

★ Personal Art 개인별 포트폴리오
자신만의 개인별 포트폴리오는 자신이 지금까지 포트폴리오준비를 하며 경험했던 부분을 바탕으로 자유주제를 가지고 자신 있는 자신만의 미술재료를 활용하여 시리즈작품으로 준비하면 좋을 것이다. 2D 3D 어떤 작품을 준비해도 상관없다 다른 작품들도 마찬가지이지만 Personal Art 포트폴리오는 자기자신에 대한 주제나 관련 있는 컨셉으로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길 권한다. 해외예술대학의 심사위는 기본적으로 자기이야기 가있는 작품을 선호한다는 것을 명심하라.

 

★ 개인별 전공포트폴리오
디자인 전공 포트폴리오는 개인의 희망전공에 따라 달라진다. 학부지원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작품을 미술장르의 포트폴리오로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 정설이다. 편입지원의 경우 70%~80%정도 미술장르의 포트폴리오를 20%~30%정도는 디자인전공과 관련된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편입지원의 경우 보통 3학년편입을 바라보지만 해외예술대학의 경우 전공실기수업이 2학년부터 이루어지므로 편입으로 지원을 받는 경우는 전공실기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로 학점인정은 교양과목이나 Art History등 기본과목만을 보통 인정해준다. 그것도 감사해야 하는 부분이라 너무 안타깝지만 수준 높은 포트폴리오를 준비하여 학점인정도 더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장학금을 받을 수 있게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원지원의 경우 포트폴리오 비중은 미술장르와 전공작품의 비율이 50:50 비중으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 MA 대학원과정으로 준비를 하는 경우는 포트폴리오의 비중이 보다 높기 때문에 전공을 전과하는 경우라도 지원은 문제가 없으나 디테일한 준비가 필요한데 미술장르가 50%라고 하여 걱정하는 경우가 많다 미술에 손을 놓은 지 오래되어서 그럴 수 있는데 미술장르의 포트폴리오는 본인이 선택한 전공의 성향이 충분히 드러나게끔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원지원시 포트폴리오 요강을 보면 너무나 애매하다. 당신의 창의적인 작품을 준비하여 지원하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전공만 지원하면 되는지 정답이 없다. 그러나 르헤브에서 18년20년 가까이 수많은 지원 Apply 사례와 예술대학의 교수들 어드미션 디렉터와의 교류를 통해 알아본 봐와 같이 대학원의 심사라도 이 학생이 얼마나 아트적 성향과 창의성이 있는 학생인지를 본다는 점이다. 해서 포트폴리오준비 시 전공작품을 준비하는 것은 당연하며 전문적인 퀄리티도 보여주어야 하고 나는 예술적 재능도 있는 학생이라는 점을 미술작품을 통해 보여주어야 유리하다. 언급한 봐와 같이 미술장르 포트폴리오는 전공의 성향이 충분히 드러나는 포트폴리오이어야 대학원 지원이 가능하며 어드미션을 받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자! 여러분들이 위의 간단하지만 포트폴리오의 지침서를 생각하고 준비를 하였다면 이제 유학준비계획대로 Apply지원을 하기 위한 서류준비와 포트폴리오를 다시 한번 점검을 받고 수정 보완해야 하는 작품들을 선택하여 더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수정보완작업으로 포트폴리오를 마무리하자. 이 파이널 준비는 입학의 당락을 좌우할 수도 있으니 신중히 마무리하고 그 중 포트폴리오를 구분하여 어느 대학은 어느 작품들로 지원하고 어느 대학은 어느 작품들을 빼는 것이 나은지 어드바이스를 받아 포트폴리오를 선택지원하기 바란다. 물론 여유를 갖고 차근차근 준비된 학생들이라면 위 사항대로 지원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급하게 준비가 된 학생들이라면 수정보완이나 포트폴리오를 대학의 성향 특성에 따라 지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그리고 각 해외예술대학들의 경우 더 디테일한 포트폴리오의 성향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모든 성향을 이 글에 전부 실을 수는 없다.


르헤브에 방문상담을 신청하여 찾아 다니려는 노력이 있는 학생들이라면 분명 각 대학들의 포트폴리오 성향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